반응형
📌 주식 용어 완전 정복: 거래중지부터 사이드카까지, 쉽게 정리해봤어요!
주식을 하다 보면 뉴스나 HTS, MTS에 “VI 발동”, “사이드카 발동”, 이런 말이 뜰 때가 있어요. 갑자기 매매가 멈추기도 하고요. 이게 뭔지 하나하나 쉽게 정리해볼게요!
🛑 1. 거래 중지 (매매거래정지)
✅ 뜻
특정 주식이 일시적으로 사고팔 수 없게 되는 상태예요.
✅ 왜 멈추는 거야?
- 회사에 **큰 뉴스(합병, 상장폐지 가능성 등)**가 생겼을 때
- 관리종목 지정 사유가 발생했을 때
- 감자, 유상증자 등 주가에 큰 영향 줄 만한 일이 있을 때
✅ 예시
A기업이 갑자기 “상장폐지될 수도 있다”는 공시를 냈어요.
투자자 혼란을 막기 위해 한국거래소가 매매를 잠깐 중지시킨 거죠.
⚠️ 2. VI (변동성 완화장치, Volatility Interruption)
✅ 뜻
주가가 갑자기 급등 or 급락할 때, 잠깐 멈춰주는 장치예요.
1~2분 정도 매매가 일시 정지돼요.
✅ 왜 필요한데?
- 투자자들이 놀라서 패닉 매도/매수를 하지 않도록
- 주가가 너무 과하게 움직이지 않도록 잠깐 ‘숨 고르기’ 시간 주는 거예요.
✅ 예시
B기업 주가가 10분 만에 +10% 급등!
시장은 깜짝 놀라고, 거래소는 “너무 빨라~” 하고 VI 발동!
1분간 멈춘 뒤 다시 거래 시작돼요.
🚨 3. 사이드카 (Sidecar)
✅ 뜻
선물 가격이 갑자기 급등 or 급락할 때,
주식 프로그램 매매를 5분간 강제로 멈추는 장치예요.
✅ 조건
- 코스피200 선물가격이 5% 이상 변동될 때
✅ 왜 있는 건데?
- 선물 시장이 주식 시장보다 빨리 움직여요.
- 선물 급등락이 주식시장에 연쇄 충격을 줄 수 있어서,
**자동 프로그램 매매(컴퓨터 매매)**를 일시 정지시키는 거예요.
✅ 예시
선물 가격이 갑자기 -5% 폭락!
거래소: “잠깐, 너무 내려가는데?”
사이드카 발동! → 프로그램 매매 5분 정지!
🧯 4. 서킷브레이커 (Circuit Breaker)
✅ 뜻
주식 시장 전체가 너무 급락할 때,
아예 시장 전체를 잠시 멈추는 제도예요.
한마디로 비상 정지 버튼!
✅ 조건 (코스피 기준)
- 코스피 지수가 전일 대비 8% 이상 하락하면
- 20분간 모든 주식 거래 중단!
(한 번만 발동되는 게 아니라, 더 떨어지면 2단계, 3단계까지 있음)
✅ 예시
갑자기 세계 증시 폭락 뉴스가 퍼졌어요.
코스피 -8% 뚝! → 서킷브레이커 발동!
20분 동안 주식 매매가 완전히 멈춰요.
💡 정리 표로 한눈에 보기
용어어떤 상황?뭐가 멈춰?멈추는 시간
거래 중지 | 특정 종목 이슈 | 그 종목만 | 보통 수시간~하루 |
VI | 주가 급등/급락 | 해당 종목 거래 일시정지 | 1~2분 |
사이드카 | 선물 가격 급변 (±5%) | 프로그램 매매만 정지 | 5분 |
서킷브레이커 | 시장 전체 급락 (8%↓ 등) | 전체 시장 거래 정지 | 20분 이상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