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정보

주가조작이란, 어떤 방식으로 일어나는 것일까? 제 5장 세력의 매집 흔적, 어떻게 파악할까?

by Tsuper 2025. 4. 16.
반응형

 

 

루멘스 2020년 당시 차트

 

 

주식 시장에서 세력은 단기적인 수익을 노리고 특정 종목을 대량으로 매집한 후, 시세를 끌어올려 차익을 실현하는 행위를 반복합니다. 그렇다면 일반 투자자는 어떻게 세력의 매집 흔적을 감지할 수 있을까요? 아래에서 그 구체적인 신호와 분석법을 소개합니다.


🔍 세력 매집의 주요 특징

1. 특정 가격대에서의 박스권 횡보

  • 일정 기간 주가가 좁은 범위 내에서 오르락내리락하며 거래량이 점진적으로 늘어나는 경우, 이는 세력이 분할 매수를 통해 매집하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 보통 3~6개월 이상 이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2. 이상 거래량 증가

  • 뉴스도 없는데 평소보다 거래량이 2~3배 이상 증가한다면 주목해야 합니다.
  • 특히 상승 없이 거래량만 늘어나는 경우, 세력이 물량을 조용히 흡수하고 있는 중일 수 있습니다.

3. 동일 가격대의 반복 체결

  • 호가창에서 특정 가격에 반복적으로 매수 주문이 쌓이는 경우, 매집 흔적으로 간주됩니다.
  • 이 때는 ‘허매수’가 아닌 실제 체결이 일어나면서도 주가는 잘 안 움직이는 게 핵심입니다.

4. 수급 흐름

  • 증권사 HTS나 MTS에서 기관/외국인/개인의 순매수 흐름을 관찰하면, 특정 계좌군(예: 외국인)이 꾸준히 매수하면서 주가를 누르거나 버티는 흐름이 보입니다.
  • 보통 세력은 외인/기관으로 위장하거나, 복수 계좌를 통해 분산 매입합니다.

🧪 실전 예시: 세력 매집 흔적이 보였던 종목

📌 예시: 루멘스 (코스닥 상장사)

  • 2021년 초~중반, 루멘스는 오랜 기간 2,000원 근처에서 거래량이 적당히 유지되면서 횡보.
  • 거래량이 서서히 증가했고, 종가 기준으로는 큰 움직임 없이 약간의 우상향.
  • 9월부터 갑자기 거래량 급증 + 주가 급등 → 세력 매집 후 본격적인 상승.

💡 세력 매집을 확인하는 팁

항목매집 흔적 판단 기준
거래량 조용히 증가 or 변동 없이도 계속 거래 발생
차트 패턴 박스권 + 거래량 수반된 장대양봉 출현 시점 주목
시간 짧게는 2주~ 길게는 3~6개월 매집 지속 가능
뉴스/이슈 호재성 뉴스 전에 거래 증가시 의심 필요
호가창 1~2호가에 반복적으로 물량 쌓이거나 체결

⚠️ 주의사항

  • 모든 박스권 횡보가 매집은 아닙니다. "실패한 작전"일 수도 있고, "시장 관심도 부족"한 종목일 수도 있죠.
  • 매집 후 상승 초기에 매수하는 것이 좋지, 이미 급등이 나온 뒤에는 리스크가 큽니다.

📝 마무리

세력의 매집은 흔적을 남깁니다.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이 흔적을 읽어내는 눈을 키우는 것입니다. 차트, 거래량, 수급, 호가창을 종합적으로 살펴본다면, 큰 시세의 시작을 미리 감지할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반응형